23
4월
2015

우리의 수학교육 어떻게 달라져야 할까?

Posted By :
Comments : Off

수학교과의 학습 부담이 상당히 많습니다. 창의성과 이해력을 높인다는 명목하에 문제에 대한 해석도 난해한 수학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여전히 연산을 강조하는 풍토에서 창의성 수학이라는 또하나의 짐이 얹혀진 형국입니다. 아직도 우리 아이들이 끝도 없는 문제를 정확하게, 그것도 빨리 풀도록 강요받고 있습니다. 이것이 마치 수학 실력이라도 되는 것 처럼 말입니다.

005

 

왜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는 노역을 강요하는 것은 우리 아이들에게 지옥을 경험케 하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100점이라는 정상에 오른 듯 싶어도, 언제든 나락으로 떨어져 다시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됩니다.

007

 

짧은 시간 동안 많은 문제를 풀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스스로 생각할 겨를이 없습니다. 자기 스스로 느끼고 활동하지 못한 채로 공식암기, 공식 적용, 그리고 다음 공식 암기.. 이런 주입식 과정을 되풀이 해서는 어떠한 성취도 기대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인간은 자연을 관찰하고, 느끼면서 스스로 탐구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스스로 깨닫는 것에서 행복감, 성취감을 느끼게 됩니다. 아이들에게 스스로 탐구하고, 깨닫는 즐거움을 되돌려 주어야 합니다.

008

 

우리는 아래의  원칙을 토대로 새로운 교육 방법을 7세 아동에서 초등  2학년 100명의 학생에게 6월간 적용해 보았습니다.

[관찰 중심의 수학 원칙]

– 스스로 관찰하고, 깨닫는 순간을 되돌려 주는 교육
–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혼자서도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의 교육
– 수학의 개념을 직관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로 제시하여 이해력을 높이는 교육
– 배우는 즐거움을 앗아가지 않는 교육

관찰중심의 수학을 접했던 아이들은 대부분 수학사교육에 의지하지 않았고, 수학 평균점수가 78점으로 평범한 아이들이었습니다. 아직 장기적인 결과를 얻은 것은 아니지만, 학생 스스로의 힘으로 향상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보통의 아이들은 사교육을 통해서 초등학년에서는 높은 점수를 유지합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에 들어가서는 본 실력이 드러나게 됩니다. 스스로 깨닫고, 스스로 공부하지 않으면 결국 수포자의 길로 들어 서는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자연스러운 교육을 통해 스스로 성취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었습니다.

스크린샷 2015-04-24 오전 5.54.48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습니다.  86%의 학생들이 2개월만에 분수개념까지 쉽게 깨우쳤습니다. 1에서 100까지의 수를 셀 수는 있지만 덧셈을 접해보지 못한 7세 아이 조차도 마이너스 개념과 문자식의 정리까지 원리를 이해했습니다. 곱셈의 개념도 모르고, 구구단을 외우지 않은 초등 1학년 학생도 곱셈을 이미지로 그리면서 곱셈은 물론 분수의개념도 1개월만에 이해했습니다. 95%의 학생이 수학이 재미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우리는 더 나아가 초등학생 수준에서도 아주 자연스럽게 미적분까지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초등 고학년 수준이면 1년 내에 수학의 고급 개념을 이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리한 선행학습을 하자는 것이 아니고, 관찰 중심의 수학 원칙들을 적용하면 누구나 쉽게 개념을 익히고, 수학을 즐길 수 있다는 취지입니다. 어떻게 이런 것들이 가능할 수 있을까요?

009

 

 

About the Author